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

2017년04월08일 17번

[과목 구분 없음]
밀폐공간 내 질식사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• ① 밀폐공간 내 유해상태란 산소 농도가 18% 미만이거나 23.5% 이상 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1.5% 이상인 경우 등을 의미한다.
  • ② 오래 방치된 지하 피트라고 할지라도 깨끗한 물을 담아 사용하던 경우라면 간단하게 후각만으로 확인한 후 별다른 조치 없이도 내부 작업을 할 수 있다.
  • ③ 페인트 등 도료, 휘발성 유기용제, 세척제, 방수제 등이 마르면서 밀폐공간 안에 중독을 일으키는 휘발성 유기용제 증기가 발생할 수 있다.
  • ④ 배관이나 탱크 등의 내부물질 정화작업으로 인하여 배관 등에서 압력이 걸린 질소 등이 갑자기 분출되면서 질식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.
(정답률: 알수없음)

문제 해설

"오래 방치된 지하 피트라고 할지라도 깨끗한 물을 담아 사용하던 경우라면 간단하게 후각만으로 확인한 후 별다른 조치 없이도 내부 작업을 할 수 있다."는 옳지 않습니다. 밀폐공간 내 유해상태는 산소 농도나 이산화탄소 농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해가스나 증기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밀폐공간 내부 작업을 할 때에는 반드시 안전장비를 착용하고, 적절한 환기나 공기순환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.
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

연도별

진행 상황

0 오답
0 정답